해당 글은 동빈나님의 "(이코테 2021 강의 몰아보기) 2. 그리디 & 구현" 영상을 보고, 혼자 공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문제 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구현: 시뮬레이션과 완전 탐색

  • 코딩 테스트에서 구현이란 머릿 속에 있는 알고리즘을 소스코드로 바꾸는 과정이다.
  • 구현 문제는 풀이를 떠올리는 것은 쉽지만 소스코드로 옮기기 어려운 문제이다.
  • 구현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 또한 적절한 라이브러리를 찾아서 사용해야 한다.
  • 시뮬레이션 및 완전 탐색 문제에서는 2차원 공간에서의 방향 벡터가 자주 활용된다.

 


문제: 상하좌우

여행가 A는 N x N 크기의 정사각형 공간 위에 있습니다. 이 공간은 1 x 1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가장 왼쪽 위 좌표는 (1, 1)이며, 가장 오른쪽 아래 좌표는 (N, N)에 해당합니다. 여행가 A는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시작 좌표는 항상 (1, 1)입니다. 우리 앞에는 여행가 A가 이동할 계획이 적힌 계획서가 놓여 있습니다.

 

계획서에는 하나의 줄에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하여 L, R, U, D 중 하나의 문자가 반복적으로 적혀 있습니다. 각 문자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L:  왼쪽으로 한 칸 이동
  • R: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
  • U: 위로 한 칸 이동
  • D: 아래로 한 칸 이동

이때 여행가 A가 N x N 크기의 정사각형 공간을 벗어나는 움직임은 무시됩니다. 예를 들어 (1, 1)의 위치에서 L 혹은 U를 만나면 무시됩니다.

 

난이도: 하 | 시간제한: 2초 | 메모리 제한: 128MB

 

입력 조건

첫째 줄에 공간의 크기를 나타내는 N이 주어집니다. (1 <= N <= 100)
둘째 줄에 여행가 A가 이동할 계획서 내용이 주어집니다. (1 <= 이동 횟수 <= 100)

출력 조건

첫째 줄에 여행가 A가 최종적으로 도착할 지점의 좌표 (X, Y)를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출력합니다.

 

입력 예시

5
R R R U D D

출력 예시

3 4

 


내 코드

n = int(input())
data = list(input().split())

x, y = 1, 1
for i in data:
  nx = x
  ny = y
  if i == 'L':
    ny -= 1
  elif i == 'R':
    ny += 1
  elif i == 'U':
    nx -= 1
  elif i == 'D':
    nx += 1
    
  if nx >= 1 and nx <= n:
    x = nx
  if ny >= 1 and ny <= n:
    y = ny

print(x, y)

 

 

클린 코드

n = int(input())
x, y = 1, 1
plans = input().split()

# L, R, U, D에 따른 이동 방향
dx = [0, 0, -1, 1]
dy = [-1, 1, 0, 0]
move_types = ['L', 'R', 'U', 'D']

# 이동 계획을 하나씩 확인하기
for plan in plans:
  # 이동 후 좌표 구하기
  for i in range(len(move_types)):
    if plan == move_types[i]:
      nx = x + dx[i]
      ny = y + dy[i]
    # 공간을 벗어나는 경우 무시
  if nx < 1 or ny < 1 or nx > n or ny > n:
    continue
  x, y = nx, ny

print(x, y)

 


문제: 시각

정수 N이 입력되면 00시 00분 00초부터 N시 59분 59초까지의 모든 시각 중에서 3이 하나라도 포함되는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예를 들어 1을 입력했을 때 다음은 3이 하나라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세어야 하는 시각입니다.

  • 00시 00분 03초
  • 00시 13분 30초

반면에 다음은 3이 하나도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세면 안 되는 시각입니다.

  • 00시 02분 55초
  • 01시 27분 45초

난이도: 하 | 시간제한: 2초 | 메모리 제한: 128MB

 

입력 조건

첫째 줄에 정수 N이 입력됩니다. (0 <= N <= 23)

출력 조건

00시 00분 00초부터 N시 59분 59초까지의 모든 시작 중에서 3이 하나라도 포함되는 모든 경우의 수를 출력합니다.

 

입력 예시 

5

출력 예시

11475

 


내 코드 - 틀림

n = int(input())

result = 0
for h in range(0, n + 1):
    for m in range(0, 60):
      for s in range(0, 60):
        if '3' in str(s):
          result += 1
      if '3' in str(m):
        result += 1
    if '3' in str(h):
      result += 1

print(result)

ㅠㅠ 답이 맞지 않는다...

 

문제 해결 아이디어
가능한 모든 시각의 경우를 하나씩 모두 세서 풀기

완전 탐색(Brute Forcing) 문제 유형:
가능한 경우의 수를 모두 검사해보는 탐색 방법

💡파이썬은 1초에 2천만번 정도의 연산!!

 

 

클린 코드

h = int(input())

count = 0
for i in range(h + 1):
  for j in range(60):
    for k in range(60):
      # 매 시각 안에 '3'이 포함되어 있다면 카운트 증가
      if '3' in str(i) + str(j) + str(k):
        count += 1

print(count)

 


문제: 왕실의 나이트

행복 왕국의 왕실 정원은 체스판과 같은 8 x 8 좌표 평면입니다. 왕실 정원의 특정한 한 칸에 나이트가 서있습니다. 나이트는 매우 충성스러운 신하로서 매일 무술을 연마합니다.

 

나이트는 말을 타고 있기 때문에 이동할 때는 L자 형태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정원 밖으로는 나갈 수 없습니다.

 

나이트는 특정 위치에서 다음과 같은 2가지 경우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1. 수평으로 두 칸 이동한 뒤에 수직으로 한 칸 이동하기
  2. 수직으로 두 칸 이동한 뒤에 수평으로 한 칸 이동하기

이처럼 8 x 8 좌표 평면상에서 나이트의 위치가 주어졌을 때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왕실의 정원에서 행 위치를 표현할 때는 1부터 8로 표현하며, 열 위치를 표현할 때는 a부터 h로 표현합니다.

 

난이도: 하 | 시간 제한: 1초 | 메모리 제한: 128MB

 

입력 조건

첫째 줄에 8 X 8 좌표 평면상에서 현재 나이트가 위치한 곳의 좌표를 나타내는 두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된다. 입력 문자는 a1처럼 열과 행으로 이뤄진다.

출력 조건

첫째 줄에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하시오.

 

입력 예시

a1

출력 예시

2

내 코드

data = input()

move_types = [[-2,-1],[-2,1],[2,-1],[2,1],[-1,-2],[-1,2],[1,-2],[1,2]]

x = int(data[1])
y = int((ord(data[0]) - ord('a')))
count = 0

for i in move_types:
  nx = x + i[0]
  ny = y + i[1]
  if nx < 1 or ny < 1 or nx > 8 or ny > 8:
    continue
  count += 1

print(count)

 

클린 코드

# 현재 나이트의 위치 입력받기
input_data = input()
row = int(input_data[1])
column = int(ord(input_data[0])) - int(ord('a')) + 1

#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8가지 방향 정의
steps = [(-2,-1), (-1,-2), (1,-2), (2,-1), (2,1), (1,2), (-1,2), (-2,1)]

# 8가지 방향에 대하여 각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지 확인
result = 0
for step in steps:
  #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 확인
  next_row = row + step[0]
  next_column = column + step[1]
  # 해당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다면 카운트 증가
  if next_row >= 1 and next_row <= 8 and next_column >= 1 and next_column <= 8:
    result += 1

print(result)

 


문제: 문자열 재정렬

 

알파벳 대문자와 숫자(0 ~ 9)로만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이때 모든 알파벳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이어서 출력한 뒤에, 그 뒤에 모든 숫자를 더한 값을 이어서 출력합니다.

 

예를 들어 K1KA5CB7이라는 값이 들어오면 ABCKK13을 출력합니다.

 

난이도: 하 | 시간 제한: 1초 | 메모리 제한: 128MB | 기출 Facebook 인터뷰

 

입력 조건

첫째 줄에 하나의 문자열 S가 주어집니다. (1 <= S의 길이 <= 10,000)

출력 조건

첫째 줄에 문제에서 요구하는 정답을 출력합니다.

 

입력 예시1

K1KA5CB7

출력 예시1

ABCKK13

 

입력 예시2

AJKDLSI412K4JSJ9D

출력 예시2

ADDIJJJKKLSS20

 


내 코드

s = input()

result = []
sum = 0
for i in s:
  if i.isalpha():
    result.append(i)
  else:
    sum += int(i)

result.sort()
result.append(sum)

for i in result:
  print(i, end='')

 

클린 코드

data = input()
result = []
value = 0

# 문자를 하나씩 확인하며
for x in data:
  # 알파벳인 경우 결과 리스트에 삽입
  if x.isalpha():
    result.append(x)
  # 숫자는 따로 더하기
  else:
    value += int(x)

# 알파벳을 오름차순으로 정렬
result.sort()

# 숫자가 하나라도 존재하는 경우 가장 뒤에 삽입
if value != 0:
  result.append(str(value))

# 최종 결과 출력(리스트를 문자열로 변환하여 출력)
print(''.join(result))

해당 글은 동빈나님의 "(이코테 2021 강의 몰아보기) 2. 그리디 & 구현" 영상을 보고, 혼자 공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문제가 있을 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그리디 알고리즘(Greedy Algorithm)

  • 탐욕 알고리즘이라고도 부른다.
  • 그 순간에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 그리디 해법은 정당성 분석 중요! 단순히 가장 좋아보이는 것을 반복적으로 선택해도 최적의 해를 구할 수 있는 지 검토해야한다.
  • 코딩 테스트에서의 대부분의 그리디 문제는 탐욕법으로 얻은 해가 최적의 해가 되는 상황에서, 이를 추론할 수 있어야 풀리도록 출제된다.

 


문제: 1이 될 때까지

어떠한 수 N이 1이 될 때까지 다음의 두 과정 중 하나를 반복적으로 선택하여 수행하려고 합니다. 단, 두 번째 연산은 N이 K로 나누어 떨어질 때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

 

1. N에서 1을 뺍니다.

2. N을 K로 나눕니다.

 

예를 들어 N이 17, K가 4라고 가정합시다. 이떄 1번의 과정을 한 번 수행하면 N이 16이 됩니다. 이후에 2번의 과정을 두 번 수행하면 N은 1이 됩니다. 결과적으로 이 경우 전체 과정을 실행한 횟수는 3이 됩니다. 이는 N을 1로 만드는 최소 횟수입니다.

 

N과 K가 주어질 때 N이 1이 될 때까지 1번 혹은 2번의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최소 횟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난이도: 하 | 시간제한: 2초 | 메모리: 128MB

 

입력 조건 

첫째 줄에 N(1 <= N <= 100,000)과 K(2 <= K <= 100,000)가 공백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자연수로 주어집니다.

출력 조건 

첫째 줄에 N이 1이 될 때까지 1번 혹은 2번의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횟수의 최솟값을 출력합니다.

 

입력 예시

25 5

출력 예시

2

 


문제 해결 아이디어

주어진 N에 대하여 최대한 많이 나누기

 

 

내 코드

n, k = map(int, input().split())

count = 0
while(n != 1):
  if n % k == 0:
    n = n // k
  else:
    n -= 1
  count += 1

print(count)

 

클린 코드

n, k = map(int, input().split())

result = 0

while True:
  # N이 K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가 될 때까지 빼기
  target = (n // k) * k
  result += (n - target)
  n = target
  # N이 K보다 작을 때 (더 이상 나눌 수 없을 때) 반복문 탈출
  if n < k:
    break
  # K로 나누기
  result += 1
  n //= k

# 마지막으로 남은 수에 대하여 1씩 빼기
result += (n - 1)
print(result)

 


문제: 곱하기 혹은 더하기

각 자리가 숫자(0부터 9)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하나씩 모든 숫자를 확인하며 숫자 사이에 'x' 혹은 '+' 연산자를 넣어 결과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단, +보다 x를 먼저 계산하는 일반적인 방식과는 달리, 모든 연산은 왼쪽에서부터 순서대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02984라는 문자열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는 ((((0 + 2) x 9) x 8) x 4) = 576입니다. 또한 만들어질 수 있는 가장 큰 수는 항상 20억 이하의 정수가 되도록 입력이 주어집니다.

 

난이도: 하 | 시간 제한: 1초 | 메모리 제한: 128MB | 기출: Facebook 인터뷰

 

입력 조건

첫째 줄에 여러 개의 숫자로 구성된 하나의 문자열 S가 주어집니다. (1 <= S의 길이 <= 20)

출력 조건

첫째 줄에 만들어질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출력합니다.

 

입력 예시 1

02984

출력 예시 1

576

 

입력 예시 2

567

출력 예시 2

210

 


문제 해결 아이디어

두 수에 대하여 연산을 수행할 때,
두 수 중에서 하나라도 1 이하인 경우엔 더하고, 두 수가 모두 2 이상인 경우에는 곱하기

 

 

내 코드

s = input()

result = int(s[0])
for i in range(1, len(s)):
  n = int(s[i])
  if n == 0 or n == 1 or result == 0:
    result += n
  else:
    result *= n

print(result)

 

클린 코드

data = input()

# 첫 번째 문자를 숫자로 변경하여 대입
result = int(data[0])

for i in range(1, len(data)):
  # 두 수 중에서 하나라도 '0' 혹은 '1'인 경우, 곱하기보다는 더하기 수행
  num = int(data[i])
  if num <= 1 or result <= 1:
    result += num
  else:
    result *= num

print(result)

 


문제: 모험가 길드

한 마을에 모험가가 N명 있습니다. 모험가 길드에서는 N명의 모험가를 대상으로 '공포도'를 측정했는데, '공포도'가 높은 모험가는 쉽게 공포를 느껴 위험 상황에서 제대로 대처할 능력이 떨어집니다.

 

모험가 길드장인 동빈이는 모험가 그룹을 안전하게 구성하고자 공포도가 X인 모험가는 반드시 X명 이상으로 구성한 모험가 그룹에 참여해야 여행을 떠날 수 있도록 규정했습니다.

 

동빈이는 최대 몇 개의 모험가 그룹을 만들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N명의 모험가에 대한 정보가 주어졌을 때, 여행을 떠날 수 있는 그룹 수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예를 들어 N = 5이고, 각 모험가의 공포도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합시다.

2 3 1 2 2

 

이 경우 그룹 1에 공포도가 1, 2, 3인 모험가를 한 명씩 넣고, 그룹 2에 공포도가 2인 남은 두 명을 넣게 되면 총 2개의 그룹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몇 명의 모험가는 마을에 그대로 남아 있어도 되기 때문에, 모든 모험가를 특정한 그룹에 넣을 필요는 없습니다.

 

난이도: 하 | 시간 제한: 1초 | 메모리 제한: 128MB | 기출: 핵심 유형

 

입력 조건

- 첫째 줄에 모험가의 수 N이 주어집니다. (1 <= N <= 100,000)
- 둘째 줄에 각 모험가의 공포도의 값을 N 이하의 자연수로 주어지며, 각 자연수는 공백으로 구분합니다.

 

출력 조건

여행을 떠날 수 있는 그룹 수의 최댓값을 출력합니다.

 

입력 예시

5
2 3 1 2 2

 

출력 예시

2

 


해결 아이디어

1. 오름차순 정렬 이후에 공포도가 가장 낮은 모험가부터 하나씩 확인

2. '현재 그룹에 포함된 모험가의 수'가 '현재 확인하고 있는 공포도'보다 크거나 같다면 이를 그룹으로 설정

 

 

내 코드

n = int(input())
fear = list(map(int, input().split()))

fear.sort()

group = 0
member = 1
for i in fear:
  if i <= member:
    group += 1
    member = 0
  elif i > member:
    member += 1
  else:
    break

print(group)

 

클린 코드

n = int(input())
data = list(map(int, input().split()))
data.sort()

result = 0 # 총 그룹의 수
count = 0 # 현재 그룹에 포함된 모험가의 수

for i in data: # 공포도를 낮은 것부터 하나씩 확인하기
  count += 1 # 현재 그룹에 해당 모험가를 포함시키기
  if count >= i: # 현재 그룹에 포함된 모험가의 수가 현재의 공포도 이상이라면, 그룹 결성
    result += 1 # 총 그룹의 수 증가시키기
    count = 0 # 현재 그룹에 포함된 모험가의 수 초기화

print(result) # 총 그룹의 수 출력

<문자열>

a = "HELLO WORLD"

# [시작:끝+1:건너띄기]
print(a[2:7])
print(a[2:-1])
print(a[2:7:2])

# replace 함수는 결과값을 받는 변수 필요
a.replace("Hello", "Hi")
print(a)
# 파이썬은 대소문자를 구별
b = a.replace("Hello", "Hi")
print(b)
# 올바른 사용법
b = a.replace("HELLO", "Hi")
print(b)

# count 함수 - 특정 문자열 갯수 반환
print(a.count('L'))

# find 함수 - 특정 문자열 위치 반환
print(a.find("WOR"))

# upper 함수 - 전체 문자열 대문자로 바꾸기 <-> lower 함수
b = "Hello world"
print(b.upper())

# strip 함수 - 특정 문자열 지워서 반환
b = a.strip("HELLO")
print(b)

# split 함수 - 문자열을 나눠서 배열 형태로 반환
b = a.split(" ")
print(b)

# zfill 함수 - 자릿수만큼 앞부분을 0으로 채움
b = a.zfill(15)
print(b)

# int 함수 - 문자열을 숫자로 전환
a = "9754"
b = int(a)
print(b + 505)

---------------------------------------------

<문자열 포맷>

#방법 1
print("나는 %d살 입니다." %20)
print("나는 %s을 좋아해요." %"파이썬")
print("Apple은 %c로 시작해요." %'A')

print("나는 %s살 입니다." %20)
print("나는 %s색과 %s색을 좋아해요." % ("빨간","파란"))

# 방법 2
print("나는 {}살입니다.".format(20))
print("나는 {}색과 {}색을 좋아해요.".format("빨간","파란"))
print("나는 {0}색과 {1}색을 좋아해요.".format("빨간","파란"))
print("나는 {1}색과 {0}색을 좋아해요.".format("빨간","파란"))

# 방벙 3
print("나는 {age}살이며, {color}색을 좋아해요.".format(age=20,color="파란"))

# 방법 4 (v3.6 이상~)
age = 20
color = "빨간"
print(f"나는 {age}살이며, {color}색을 좋아해요.")

-----------------------------------------------

<문자열 자료형의 기본 함수>

# 문자열 자료형 뒤집기: 슬라이싱 활용
str = "Hello World"
print(str[::-1])

# len(): 문자열의 길이를 출력

# isalpha(): 특정한 문자열이 문자로만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
str = "Hello World"
print(str.isalpha())

# isdigit(): 특정한 문자열이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
str = "1235465"
print(str.isdigit())

# isalnum(): 특정한 문자열이 문자와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
str = "abd465"
print(str.isalnum())

# join(리스트 자료형): 여러 개의 문자열을 구분자와 함께 합치는 함수
list = ['hello', 'world', '홍길동']
print('-'.join(list))

# sorted(문자열 자료형): 각 문자를 정렬하는 함수
str = "helloworld"
list = sorted(str)
print(list)
print(''.join(list))
list = sorted(str, reverse=True)
print(''.join(list))

# split(토큰): 문자열을 토큰에 따라서 분리하는 함수
str = "I want watch a movie"
list = str.split(' ')
print(list)

# find(서브 문자열): 문자열 내부에 존재하는 서브 문자열의 인덱스를 반환
str = "I like like you"
print(str.find('like'))
print(str.find('like', 5))

# upper(), lower(): 문자열을 대문자 혹은 소문자로 변환해주는 함수
# isupper()
print(str[0].isupper())

# strip(): 좌우로 특정한 문자열을 제거하는 함수
str = " Hello World "
print(str.strip())
print(str.lstrip())
print(str.rstrip())

str = "ttHello Worldtt"
print(str.strip('t'))

# eval(): 문자열 수식 계산해주는 함수
exp = "(103+516)*3-(15/8)"
print(eval(exp))

# replace()
print(str.replace("Hello", "Hi"))

# index()
index = str.index("H")
print(index)
index = str.index("t", index + 1)
print(index)
# find()와의 차이점: find()는 찾는 값이 없으면 -1 반환하고 프로그램 계속 실행
#index()는 오류내면서 프로그램 종료

깃허브(GitHub)란?

분산 버전 관리 툴인 깃(Git) 저장소 호스팅을 지원하는 웹 서비스입니다. 쉽게 말하면, 개발자들이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개발할 때, 소스코드를 관리하는 저장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GitHub 회원가입 & Git 설치하기

 

2. Git Bash 열기

 

3. Git 환경설정 하기

 

1) user.name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user_name"

2) user.email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email "user_email"

 

4. 정보 확인하기

git config --list

 

GitHub에 코드 업로드하기

1. 초기화

git init

 

2. 추가할 파일 더하기

git add .

.(점)은 모든 파일이라는 뜻, 선택적으로 올리고 싶으면 add 뒤에 파일 이름 붙여주기

 

 

만약 git add . 를 하고

warning: LF will be replaced by CRLF in pom.xml. The file will have its original line endings in your working directory

이런 오류가 난다면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true

이걸 입력하고 다시 하면 됨

 

 

변경된 모든 파일을 add 하고 싶을 때는 -A 옵션 사용

git add -A

 

 

3. 상태 확인 (필수 아님)

git status

 

4. 히스토리 만들기

git commit -m "first commit"

"" 안에는 주고싶은 히스토리 이름을 주기

 

 

마지막 Commit 메시지를 수정하고 싶다면,

git commit --amend -m "변경할 메시지"

 

 

5. GitHub repository랑 내 로컬 프로젝트랑 연결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깃허브이름/레포지토리이름.git

이 명령어는 깃허브에서 복사해서 붙여오기

 

 

6.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 (필수 아님)

git remote -v

 

 

7. 깃허브에 올리기

git push origin master

master 자리에는 branch 이름이 들어가면 됨

 

 

 

'git push origin master' 명령어를 쓰고 오류가 난다면

2022.08.06 - [Git] - [Git] remote: Support for password authentication was removed on August 13, 2021. Please use a personal access token instead 오류

 

[Git] remote: Support for password authentication was removed on August 13, 2021. Please use a personal access token instead 오

나는 'git push origin master' 명령어를 사용했더니 remote: Support for password authentication was removed on August 13, 2021. Please use a  personal access token instead. 이런 오류..

yiseul-coding.tistory.com

해당 게시글 참고하기

+ Recent posts